이미지
저는 좀 더 손쉽게 로컬 환경에서 분석을 하기 위해 pycham을 사용하여 서버에 있는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/ 와 직접 동기화 한 뒤 진행하였습니다. (디버깅 모드를 이용하면 위에 보이는 것처럼 argv의 값을 직접 볼 수 있습니다.)
또한 여기에서 분석한 코드는 https://github.com/openstack/python-openstackclient/tree/5.2.0 입니다.
tag 5.2.0입니다.
오픈스택을 설치하고, openstack server list를 치게 되면 위 그림처럼 이쁘게 출력됩니다..
명령어는 어떻게 전달되고,
어디서 이쁘게 출력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.
먼저 오픈스택 명령어의 위치를 알아냅니다. which를 찍으면 어디서에 실행되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. 해당 파일을 열어보겠습니다.
stack@server1:~$ cat /usr/local/bin/openstack
#!/usr/bin/python3.6
# -*- coding: utf-8 -*-
import re
import sys
from openstackclient.shell import main
if __name__ == '__main__':
sys.argv[0] = re.sub(r'(-script\.pyw|\.exe)?$', '', sys.argv[0])
sys.exit(main())
openstackclient.shell의 main을 import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그리곤 단순히 main()만을 실행합니다.
main()으로 직접 가보겠습니다.
stack@server1:~$ python3
Python 3.6.9 (default, Jul 17 2020, 12:50:27)
[GCC 8.4.0] on linux
Type "help", "copyright", "credits" or "license" for more information.
>>> import openstackclient
>>> openstackclient
<module 'openstackclient' from '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/__init__.py'>
openstackclient 모듈의 위치는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/ 에 위치해 있네요.
openstackclient의 shell.py를 열어 main()을 찾아보겠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/shell.py
from osc_lib import shell
"""생략 """
class OpenStackShell(shell.OpenStackShell):
def __init__(self):
super(OpenStackShell, self).__init__(
description=__doc__.strip(),
version=openstackclient.__version__,
command_manager=commandmanager.CommandManager('openstack.cli'),
deferred_help=True)
"""생략 """
def main(argv=None):
"""생략 """
return OpenStackShell().run(argv) #argv: ['server', 'list']
main 함수의 마지막 부분을 보면 OpenStackShell클래스의 run()을 실행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OpenStackShell은 shell.OpenStackShell을 상속받고 있으며, 자체적으로 run()을 가지고 있지는 않네요. 아마 부모 클래스의 run()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.
osc_lib.OpenStackShell.run()이 어디에 있는지 찾아보겠습니다.
stack@server1: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$ python3
Python 3.6.9 (default, Jul 17 2020, 12:50:27)
[GCC 8.4.0] on linux
Type "help", "copyright", "credits" or "license" for more information.
>>> import osc_lib
>>> osc_lib
<module 'osc_lib' from '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sc_lib/__init__.py'>
또 다른 폴더입니다.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선언된 부모 클래스를 찾아갈 수 있습니다.
ocs_lib의 shell.run() 위치를 찾아보겠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sc_lib/shell.py
class OpenStackShell(app.App):
def run(self, argv):
ret_val = 1
self.command_options = argv
try:
ret_val = super(OpenStackShell, self).run(argv) #argv: ['server', 'list']
return ret_val
except Exception as e:
'''생략'''
해당 클래스는 app.py의 App클래스를 상속받아 구현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ret_val = super(OpenStackShell, self).run(argv) #argv: ['server', 'list']
부모 클래스의 run()을 실행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app.py의 App클래스의 run()으로 이동해보겠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cliff/app.py
class App(object):
''' 생략 '''
def run(self, argv): #argv: ['server', 'list']
try:
self.options, remainder = self.parser.parse_known_args(argv) # remainder['server', 'list']
self.configure_logging()
self.interactive_mode = not remainder
if self.deferred_help and self.options.deferred_help and remainder:
remainder.insert(0, "help")
self.initialize_app(remainder)
self.print_help_if_requested()
except Exception as err:
''' 생략 '''
result = 1
if self.interactive_mode:
result = self.interact()
else:
result = self.run_subcommand(remainder) # remainder['server', 'list']
return result
rgv에 [‘server’, ‘list’] 값이 들어있고, parser.parse_known_arg에 의해 remainder에 [‘server’, ‘list’]가 담기게 됩니다.
else:
result = self.run_subcommand(remainder) # remainder['server', 'list']
우리는 인터렉티브 모드로 실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else문에 들어가게 되는데, run_subcommand() 함수로 인자 값을 넘겨줍니다.
app.py의 APP.run_subcommand() 따라가 보겠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cliff/app.py
class App(object):
''' 생략 '''
def run_subcommand(self, argv): #argv: ['server', 'list']
try:
subcommand = self.command_manager.find_command(argv)
''' 생략 '''
return result
run_subcommand() 또한 App클래스 내부에 있는 함수입니다. 우리가 넘겨준 remainder 값들을 여기에서는 argv로 받고 있습니다.
그리곤 command_manage.find_command()에 argv를 인자로 넘겨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아마 여기에서 커맨드를 찾는 거 같군요.
app.py의 CommandManager.find_command()로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cliff/app.py
class CommandManager(object):
''' 생략 '''
def find_command(self, argv):
start = self._get_last_possible_command_index(argv)
for i in range(start, 0, -1):
name = ' '.join(argv[:i])
search_args = argv[i:]
return_name = name
if name in self._legacy:
name = self._legacy[name]
found = None
if name in self.commands:
found = name
else:
candidates = _get_commands_by_partial_name(
argv[:i], self.commands)
if len(candidates) == 1:
found = candidates[0]
if found:
cmd_ep = self.commands[found]
if hasattr(cmd_ep, 'resolve'):
cmd_factory = cmd_ep.resolve()
else:
# NOTE(dhellmann): Some fake classes don't take
# require as an argument. Yay?
arg_spec = utils.getargspec(cmd_ep.load)
if 'require' in arg_spec[0]:
cmd_factory = cmd_ep.load(require=False)
else:
cmd_factory = cmd_ep.load()
return (cmd_factory, return_name, search_args)
CommandManager라고 하니, 커맨드를 찾는 관리하는 친구인 거 같습니다, 그리고 최종적으로 cmd_factory, return_name, search_args를 반환합니다.
각각 값들을 보면 다음과 같이 담겨서 반환됩니다.
클래스 객체를 cmd_factory에 담을 수 있던 걸까요?
정답부터 알려드리면,,,
CommandManger클래스가 초기화될 때, self.commands에 EntryPoint라는 객체들이 저장됩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python_openstackclient-5.2.0.dist-info/entry_points.txt'
server_group_show = openstackclient.compute.v2.server_group:ShowServerGroup
server_image_create = openstackclient.compute.v2.server_image:CreateServerImage
server_list = openstackclient.compute.v2.server:ListServer
server_lock = openstackclient.compute.v2.server:LockServer
이 값들은 ‘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python_openstackclient-5.2.0.dist-info/entry_points.txt’에 존재하는데 여기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이용하여 ‘_’를 ‘ ‘로 교체한 뒤 self.commands에 저장합니다. (server_list -> server list)
그리고 불러온 커맨드 목록들 중에 ‘server list’를 찾아서 cmd_factory에 저장하게 됩니다.
블랙홀에 빠지기 싫으시면 5번으로 패스하시면 됩니다.
if found: # found: 'server list'
cmd_ep = self.commands[found]
‘server list’ 값을 찾은 결과 cmd_ep에 값이 담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리고 계속 디버깅하다 보면 dist에 python-openstackclient 5.2.0이라는 값이 보이는데,
self.commands값을 직접 살펴봤습니다. ‘server list’도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그렇다면 self.command에 있는 server list는 어디서 찾은 걸까??
그래서 CommandManager의 클래스 초기화 부분으로 가보았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cliff/app.py
class CommandManager(object):
'''생략'''
def __init__(self, namespace, convert_underscores=True):
self.commands = {}
self._legacy = {}
self.namespace = namespace
self.convert_underscores = convert_underscores
self._load_commands()
def _load_commands(self):
# NOTE(jamielennox): kept for compatibility.
if self.namespace:
self.load_commands(self.namespace)
def load_commands(self, namespace):
"""Load all the commands from an entrypoint"""
for ep in pkg_resources.iter_entry_points(namespace):
LOG.debug('found command %r', ep.name)
cmd_name = (ep.name.replace('_', ' ')
if self.convert_underscores
else ep.name)
self.commands[cmd_name] = ep
return
'''생략'''
def load_commands()에서 커맨드를 찾고 값들을 replace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page_resources.iter_entry_points()에서 나온 값을 commands에 저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/shell.py
class OpenStackShell(shell.OpenStackShell):
def __init__(self):
super(OpenStackShell, self).__init__(
description=__doc__.strip(),
version=openstackclient.__version__,
command_manager=commandmanager.CommandManager('openstack.cli'),
deferred_help=True)
namesapce를 인자 값으로 전달을 하는데, shell.py에서 init 할 때 넘겨준 값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page_resources.iter_entry_points()로 이동해보겠습니다.
def iter_entry_points(self, group, name=None): #group: openstack.cli
return (
entry
for dist in self
for entry in dist.get_entry_map(group).values()
if name is None or name == entry.name
)
열심히 dist 폴더들을 돌면서 ‘openstack.cli’ 값이 있는지 찾아보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 (추측)
아마 entry_points.txt의 파일 내부에 있는 [openstack.cli]를 찾고 있는 거 같습니다.
그리고 계속 디버깅하다 보면 dist에 python-openstackclient 5.2.0이라는 값이 보이는데,
dist객체의 egg_info 정보를 보면 path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stack@server1:~$ sudo find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python_openstackclient-5.2.0.dist-info/ -name "*.*" -type f | xargs grep "server_list"
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python_openstackclient-5.2.0.dist-info/entry_points.txt:server_list = openstackclient.compute.v2.server:ListServer
그래서 해당 폴더로 가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. entry_points.txt에서 server_list가 검색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entrypoint.txt 에서 데이터를 읽는 것으로 보입니다.
찾고 나면 cmd_name에 moude_list를 변환하여 cmd_name으로 변환한 뒤 하나씩 self.command값들을 추가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.
실제 데이터를 확인해보면 한번 for문을 돌 때마다 값이 추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.
어떻게 도는지 제대로 파악을 못했습니다. 또한 삽질을 하면서 느낌적으로 분석한 거라 잘못된 부분이 충분히 있을 수 있습니다. (있을 겁니다.)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cliff/app.py
class CommandManager(object):
''' 생략 '''
def find_command(self, argv):
''' 생략 '''
if found:
cmd_ep = self.commands[found]
if hasattr(cmd_ep, 'resolve'):
cmd_factory = cmd_ep.resolve()
''' 생략 '''
return (cmd_factory, return_name, search_args)
cmd_factory에 ListServer클래스가 반환됩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cliff/app.py
class App(object):
''' 생략 '''
def run_subcommand(self, argv): #argv: ['server', 'list']
try:
subcommand = self.command_manager.find_command(argv)
except ValueError as err:
''' 생략 '''
cmd_factory, cmd_name, sub_argv = subcommand
kwargs = {}
if 'cmd_name' in utils.getargspec(cmd_factory.__init__).args:
kwargs['cmd_name'] = cmd_name
cmd = cmd_factory(self, self.options, **kwargs)
result = 1
드디어 CommandManager() 클래스를 빠져나올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곳을 호출한 APP클래스의 run_subcommand로 되돌아왔습니다.
(cmd_factory, return_name, search_args)를 subcommand로 받은 뒤, (cmd_factory, cmd_name, sub_argv)로 다시 받습니다.
if 'cmd_name' in utils.getargspec(cmd_factory.__init__).args:
kwargs['cmd_name'] = cmd_name
cmd = cmd_factory(self, self.options, **kwargs)
그리고는 cmd_factory를 어떠한 가공(?)을 거쳐 cmd 변수를 새롭게 만드는데, 이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.
계속 한 줄씩 실행하겠습니다.
cmd = cmd_factory(self, self.options, **kwargs)
result = 1
try:
self.prepare_to_run_command(cmd)
full_name = (cmd_name
if self.interactive_mode
else ' '.join([self.NAME, cmd_name])
)
cmd_parser = cmd.get_parser(full_name)
parsed_args = cmd_parser.parse_args(sub_argv)
result = cmd.run(parsed_args)
prepare_to_run_command(cmd)를 하는데, 저 함수는 비어있고 설명만 적혀 있습니다.
full name을 받는데, 우리는 interactive_mode가 아니므로 openstack server list가 반환된다. 만약 인터렉티브 모드로 동작했을 때 차이점이 여기에서 나타나는 듯합니다.
그리고 cmd.get_parser()가 동작을 하는데, 이는 아까 만들었던 cmd 객체라고 볼 수 있다. 즉, 여기에서 ListServer.get_parser()로 들어간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/compute/v2/server.py
class ListServer(command.Lister):
_description = _("List servers")
def get_parser(self, prog_name):
parser = super(ListServer, self).get_parser(prog_name)
parser.add_argument(
'--reservation-id',
metavar='<reservation-id>',
help=_('Only return instances that match the reservation'),
)
parser.add_argument(
'--ip',
metavar='<ip-address-regex>',
help=_('Regular expression to match IP addresses'),
)
그리고 쭈루루룩 parser들을 추가시킨다. 여기에서 추가된 값들은 우리가 흔히 보는 커맨드에서 출력하는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.
커맨드 라인에 이런 식으로 추가되는 거 같은데, 잘 모르겠습니다. 추가적인 공부를 해야 할 듯합니다.
parsed_args = cmd_parser.parse_args(sub_argv)
result = cmd.run(parsed_args)
cmd.run()이 실행되게 되는데,
이곳에서 실행되면서 커맨드 창에 그림이 그려지고, 서버에 요청을 해서 데이터를 얻어오게 됩니다.
cmd.run을 따라 가보겠습니다.
@six.add_metaclass(CommandMeta)
class Command(command.Command):
def run(self, parsed_args):
self.log.debug('run(%s)', parsed_args)
return super(Command, self).run(parsed_args)
Command.run()을 거쳐(잘 몰라서,, 패스)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cliff/display.py
@six.add_metaclass(abc.ABCMeta)
class DisplayCommandBase(command.Command):
'''생략'''
def run(self, parsed_args):
parsed_args = self._run_before_hooks(parsed_args)
self.formatter = self._formatter_plugins[parsed_args.formatter].obj
column_names, data = self.take_action(parsed_args)
column_names, data = self._run_after_hooks(parsed_args,
(column_names, data))
self.produce_output(parsed_args, column_names, data)
return 0
DisyplayCommandBase.run()이 실행됩니다.
column_names, data = self.take_action(parsed_args)
self.produce_output(parsed_args, column_names, data)
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곳은 take_action()과 produce_output()입니다. 특히 더 주목해야 되는 곳은 take_action()
take_action()에서는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 및 가공을 하고, 그 결과 값을 column_name, data에 담습니다.
produce_output()에서는 take_action()에서 column_name, data을 토대로 실제 콘솔에 그림을 그립니다.
take_action()부터 보겠습니다.
# /usr/local/lib/python3.6/dist-packages/openstackclient/compute/v2/server.py
class ListServer(command.Lister):
_description = _("List servers")
'''생략'''
def take_action(self, parsed_args):
compute_client = self.app.client_manager.compute
identity_client = self.app.client_manager.identity
image_client = self.app.client_manager.image
'''생략'''
data = compute_client.servers.list(search_opts=search_opts,
marker=marker_id,
limit=parsed_args.limit)
'''생략'''
table = (column_headers,
(utils.get_item_properties(
s, columns,
mixed_case_fields=mixed_case_fields,
formatters={
'OS-EXT-STS:power_state':
_format_servers_list_power_state,
'Networks': _format_servers_list_networks,
'Metadata': utils.format_dict,
},
) for s in data))
return table
table이라는 튜플이 리턴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table값을 보면 column_headers와 generator이 서로 쌍으로 들어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column_headers이 만만해 보이므로 먼저 접근해보았습니다. column_headers는 이게 끝입니다.
(utils.get_item_properties(
s, columns,
mixed_case_fields=mixed_case_fields,
formatters={
'OS-EXT-STS:power_state':
_format_servers_list_power_state,
'Networks': _format_servers_list_networks,
'Metadata': utils.format_dict,
},
) for s in data)
이제 column_headers 오른쪽에 있는 복잡한 녀석을 한번 접근해 보겠습니다. get_item_properties에 인자 값으로 s, columns, mixed_case_fields, formatters를 전달해줍니다.
def get_item_properties()로 가보겠습니다.
def get_item_properties(item, fields, mixed_case_fields=None, formatters=None):
''' 생략 '''
row = []
for field in fields: # field: 'ID'
if field in mixed_case_fields:
field_name = field.replace(' ', '_')
else:
field_name = field.lower().replace(' ', '_') # field_name: 'id'
data = getattr(item, field_name, '')
if field in formatters:
formatter = formatters[field]
fields에서 하나씩 꺼내온 다음 ‘_’를 ‘ ‘로 변환하고, 대문자를 소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파이참의 디버깅 모드에서는 중간에 디버그 걸린 곳의 변수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이용해 데이터 값을 조회해 봤습니다.
item에 들어있는 id를 가져와서 data라는 변수에 넣은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field의 Flavar Name을 뽑아서 추출할 경우도 m1.nano가 data에 담깁니다.
item.flavor_name으로도 데이터를 볼 수 있습니다.
item에 존재하는 다른 값들도 넣어보겠습니다. 잘 출력이 됩니다. item에 존재하는 다른 값들도 꺼내 올 수 있겠네요.
다시 table을 만드는 튜플로 돌아가 보겠습니다.
table = (column_headers,
(utils.get_item_properties(
s, columns,
mixed_case_fields=mixed_case_fields,
formatters={
'OS-EXT-STS:power_state':
_format_servers_list_power_state,
'Networks': _format_servers_list_networks,
'Metadata': utils.format_dict,
},
) for s in data))
item은 여기에서 s이고 s는 data에서 뽑아온 값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여기에서 columns은 fields인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columns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.
data는 여기에서 새로 받네요.
궁금해서 잠깐 compute_client.servers.list()로 들어가 봤습니다. (novaclient로 요청하는 부분은 나중에 분석할 기회가 생기면 자세히 추가시켜 놓겠습니다.)
# novaclient/client.py
def request(self, url, method, **kwargs):
kwargs.setdefault('headers', kwargs.get('headers', {}))
api_versions.update_headers(kwargs["headers"], self.api_version)
# NOTE(dbelova): osprofiler_web.get_trace_id_headers does not add any
# headers in case if osprofiler is not initialized.
if osprofiler_web:
kwargs['headers'].update(osprofiler_web.get_trace_id_headers())
# NOTE(jamielennox): The standard call raises errors from
# keystoneauth1, where we need to raise the novaclient errors.
raise_exc = kwargs.pop('raise_exc', True)
with utils.record_time(self.times, self.timings, method, url):
resp, body = super(SessionClient, self).request(url,
method,
raise_exc=False,
**kwargs)
servers.list를 잠깐 들어가 보니까 url로 요청을 보내는 곳이 있는 거 같습니다. Get method도 있네요.
요청해서 받은 응답 헤더와 body를 보니까 200과 서버 데이터들이 들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(나중에 살펴봐야겠네요)
column_names, data = self.take_action(parsed_args)
column_names, data = self._run_after_hooks(parsed_args,
(column_names, data))
self.produce_output(parsed_args, column_names, data)
이렇세 take_action은 끝입니다.
table이 반환이 되지만 튜플 형태로 반환되기 때문에, column_names와 data 각각 나눠서 담기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column_names, data = self._run_after_hooks(parsed_args,
(column_names, data))
self.produce_output(parsed_args, column_names, data)
produce_output에서는 그림을 실제로 콘솔 창에 출력을, take_action에서 반환받은 column_names정보와 data정보를 가지고 출력을 합니다.
produce_output의 내부로 진행하다 보면 TableFormatter.emit_list()가 나옵니다.
# cliff/formatters/Table.py
class TableFormatter(base.ListFormatter, base.SingleFormatter):
''' 생략 '''
def emit_list(self, column_names, data, stdout, parsed_args):
x = prettytable.PrettyTable(
column_names,
print_empty=parsed_args.print_empty,
)
x.padding_width = 1
# Add rows if data is provided
if data:
self.add_rows(x, column_names, data)
# Choose a reasonable min_width to better handle many columns on a
# narrow console. The table will overflow the console width in
# preference to wrapping columns smaller than 8 characters.
min_width = 8
self._assign_max_widths(
stdout, x, int(parsed_args.max_width), min_width,
parsed_args.fit_width)
formatted = x.get_string()
stdout.write(formatted)
stdout.write('\n')
return
formatted = x.get_string()
stdout.write(formatted)
stdout.write('\n')
x.get_string()로 formatteed 데이터를 넣고, stdout.write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여기에서 이쁘게 출력되네요. (2. 어디서 이쁘게 출력되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.)
TableFormatter에서 이쁘게 만들기 위해 여러 노력하는 거 같은데 더 깊게는 안 가봤습니다.
그리고는 터미널에 결과가 출력이 됩니다.